'대왕고래' 프로젝트로 명명된 포항유전 개발사업이 뜻밖의 복병을 만났다. 2030년경 많은 양의 석유 공급 초과가 발생해 국제유가가 크게 하락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경제성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포항유전은 개발 성공 시 국내 유일 생산유전으로서 에너지안보적으로 매우 중요하고, 가스 매장량이 더 많을 수 있다는 분석도 있어 탐사 및 개발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17일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최근 '2024 석유보고서'를 통해 글로벌 석유 수요가 2023년 하루평균 1억200만배럴에서 2030년경에는 1억600만배럴 수준으로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IEA는 항공과 석유화학 분야 수요는 계속 증가하지만 차량의 연비개선과 중동지역의 발전용 석유 수요 감소, 구조적인 경제 변화 등으로 인해 수요가 상쇄될 것으로 분석했다.
반면 공급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IEA는 “미국과 가이아나 등 미주 지역이 주도하는 글로벌 석유 생산능력이 급증하면서 2030년경 공급능력은 하루 1억1400만배럴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렇게 되면 하루 800만배럴의 엄청난 양의 공급초과가 발생한다. 이는 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최고조에 달한 글로벌 예비 용량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지난 2020년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글로벌 석유 수요가 급감한 바 있다. 이로 인해 국제유가는 4월에 20달러로 폭락하는 등 두바이유 기준 연평균 42달러를 기록했다. 이후에는 다시 수요 증가로 2021년 69달러, 2022년 96달러, 2023년 82달러, 2024년 현재 83달러로 상승했다.
2020년 국제유가는 이후로 수요 증가에 힘입어 다시 올랐지만, 2030년 유가는 그러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IEA를 비롯해 다수의 국제 에너지 기관들은 2030년경에 석유 수요가 정점에 달한 뒤 이후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기 때문이다.
IEA 전망대로라면 포항유전의 경제성 확보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대왕고래' 프로젝트로 명명된 포항유전은 물리탐사 결과 자원량이 140억배럴에 이르고, 시추 깊이가 1000m에 이르는 심해유전이다. 개발에 성공할 시 본격적 생산은 2035년경 이뤄질 예정이다.
포항유전과 비견되는 금세기 최고 발견으로 평가받는 가이아나 심해유전의 손익분기 유가는 2020년 기준 배럴당 46달러이다. 특히 가이아나 유전은 세계 최고 석유개발사인 엑슨모빌이 주관하고 있다. 생산 시점 및 개발 주관사 한국석유공사의 역량 등을 감안하면 포항유전의 손익분기 유가는 최소 50달러 이상으로 예상돼 경제성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은 포항유전의 탐사 및 개발 명분은 충분하고 나아가 생산기반 확보도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김진수 한양대 자원환경공학과 교수는 “국제유가가 하향 안정화되면 대왕고래 프로젝트의 경제성 확보 조건이 더 어려워질 수 있다"면서도 “그러나 탄소중립 시점까지 우리나라의 석유 수요와 수입량을 고려해봤을 때, 여전히 도전해 볼 가치는 있다. 특히 에너지안보를 둘러싼 지정학 위기는 아직도 진행 중이며, 미래에는 더 자주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상황에서 안보의 3축 중 하나인 '생산 수단'을 확보한다는 것의 가치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나머지 안보 축은 비축과 수요 관리이다.
포항유전에는 원유와 천연가스가 혼합돼 매장돼 있는데, 천연가스 매장량이 더 많을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천연가스는 화석연료 중 탄소함유량이 가장 적어 탄소중립으로 가는 가교역할을 하는 에너지로 평가된다. 이 때문에 충분한 양의 가스 매장량이 확인된다면 포항유전의 경제적 및 전략적 가치는 달라질 수 있다.
한 자원공학과 교수는 “원유보다 가스 매장량이 더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가스는 탄소중립에서 브릿지 역할을 하는 에너지이기 때문에 많은 양의 가스가 발견된다면 포항유전의 가치는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메이저 석유기업 쉘은 올초 '2024년 액화천연가스(LNG) 전망' 보고서에서 글로벌 액화천연가스(LNG) 수요가 2023년 4억4000만톤에서 2040년에는 6억8500만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윤병효 기자 chyybh@ekn.kr
핵심광물 추출한다…‘재자원화산업클러스터’ 조성 사업 급물살
2025.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