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정상, 두 번의 회담에서 “수소 협력” 강조, 왜?

이재명 대통령-이사바 총리, 1차 이어 2차에서도 수소협력 약속
탄소중립 달성 위해 수소에너지 필요, 양국 모두 수입 의존 환경
중동·호주로부터 바잉파워 높이려면 한일 공동구매 등 협력 중요
가스공사·GS건설·스미토모상사 ‘액화수소 저장탱크’ 개발 MOU
2025.10.01 14:43:35 댓글 0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지난달 30일 제주도에서 두 번째 정상회담을 통해 양국의 실질적인 협력을 약속했다. 사진=대통령실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8월에 이어 두 번째 회담을 가지면서 주요 의제로 '수소 협력'을 채택해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양국은 모두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했고 수송과 산업 부문의 탈탄소를 위해선 수소에너지가 반드시 필요하다. 양국은 수소 생산능력이 떨어져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데, 서로 공동구매를 하면 구매력(바잉파워)이 높아져 수입비용을 낮추는 등 유리한 조건을 이끌 수 있다. 또한 최고의 기술력을 요구하는 영하 253도(℃)의 액화수소 분야에서도 양국의 기술협력 필요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1일 대통령실 및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일본 총리는 지난달 30일 제주도에서 두 번째 만남을 갖고 수소에너지 등에서 양국의 실질적인 협력 강화를 약속했다.


두 정상은 지난 8월 23일 첫 번째 만남에서도 수소에너지 협력을 논의한 바 있다. 두번의 정상회담에서 수소에너지가 의제로 선정된 이유는 그만큼 양국이 수소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과 일본은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양국은 모두 제조업이 발달했기 때문에 산업부문의 탈탄소가 중요하다. 발전(전환)부문은 재생에너지와 원전으로 어느 정도 탈탄소가 가능하지만, 산업부문은 기본적으로 수백도에서 수천도의 고열이 필요해 이를 전력으로 감당하기 힘들다. 대표적으로 철강산업은 2000도가 넘는 초고열이 필요한데, 무탄소 열원인 수소가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수송부문에서 승용차는 배터리로 탈탄소가 가능하지만, 트럭 등 중장비는 대규모 배터리를 탑재해야 해 비용이나 안전성에 문제가 많다. 때문에 중장비는 수소연료전지 방식이 가장 유력하다.


양국의 수소 협력 분야는 구매와 기술 분야일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수소 생산은 중동과 호주가 가장 유력하다.


수소업계 한 관계자는 “오만 등 중동 사막은 토양이 딱딱하고 광량도 풍부해 태양광을 통한 수소 생산이 가능하고, 인근 바다에서 풍력을 통한 생산도 가능하다. 호주도 중동 다음으로 유력한 수소 생산지"라며 “생산국이 별로 없다보니 이들이 LNG처럼 수입 조건을 까다롭게 할 가능성이 크다. 한국과 일본이 수소를 공동구매하면 바잉파워가 커져 유리한 조건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해외에서 수소를 수입할 때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그냥 수소로 들여오는 것과 수소화합물로 들여오는 것이다. 현재는 수소(H)와 질소(N)를 혼합한 암모니아(NH4) 형태가 가장 유력하게 거론된다. 하지만 암모니아는 독성이 있어 해안에서는 취급이 가능하나 내륙으로 이송이 어렵다. 이 때문에 순수 수소로만 구성돼 독성이 없고 밀도를 높인 액화수소가 주목받고 있다.


액화수소는 기체수소를 영하 253도로 얼려 액체화한 것으로, 밀도가 800배 높아져 운송 효율이 높아진다. 다만 액화에 들어가는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는 것과 탱크, 밸브 등 관련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관건이다.


지난달 29일 한국가스공사와 GS건설이 일본 대표 에너지기업 중 하나인 스미토모상사의 한국법인과 '액화수소 인수기지 핵심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것도 양국 수소 협력의 일환이다.


3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액화수소 저장탱크'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핵심이다.


오권택 가스공사 수소신사업단장은 “수소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우리나라에 반드시 필요한 에너지로, 암모니아는 주민수용성 때문에 도입이 어려울 수 있어, 가스공사는 액화수소 방식에서 가장 핵심인 액화수소 저장탱크 기술 개발을 위해 일본과 협력하고 있다"며 “현재 LNG는 1기의 저장탱크 규모가 26만킬로리터(㎘)까지 상용화됐지만, 액화수소는 일본에서 5000㎘ 수준에 머물고 있다. 액화수소 상용화를 위해선 더 큰 규모의 저장탱크 개발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LNG 협력 실패 전철 밟지 않으려면 정치와 산업 분리 필요

이번 한국과 일본의 수소 협력은 10여년 전 LNG 협력 실패의 교훈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업계는 진단한다.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3년 양국의 LNG 수입기업들은 LNG 수출국의 횡포에 대응해 수입 협상력을 높이기 위해 공동구매를 추진했다. 하지만 일본이 독도 영유권 문제를 계속 주장하면서 역사 갈등을 부추겼고, 2019년 일본이 반도체 소재 수출을 금지하면서 결국 양국의 모든 산업 협력은 결렬되고 말았다.


윤석열 정부에서 LNG 협력이 재개된 데 이어, 이재명 정부에서는 수소 협력까지 다시 논의되고 있다.


가스업계 한 관계자는 “한국과 일본은 에너지를 모두 수입해 사용해야 하는 환경이 같기 때문에 양국이 공동구매 등 협력하면 훨씬 더 경제적인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 대해서는 양국 산업이 모두 동의하지만, 관건은 정치적 갈등"이라며 “결론적으로 정치적 갈등은 계속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정치와 산업 이슈를 분리해서 관리해 나가는 유연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데이터센터

국제환율(미국 USD 매매기준율)

시도별 주유소 평균 가격_보통휘발유

금 가격

일일국제원유가격

국제환율(일본 JPY 매매기준율)

CD금리(91일)

MICE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