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광둥성=이원희 기자] 중국 광둥성 선전시에서 100여km를 2시간 동안 버스를 타고 달려 중국 태양광 인버터 기업인 그로와트의 공장에 도착했다. 높이는 6~7층 정도인데 너비로는 가늠이 안될 정도의 커다란 시설이 눈에 들어왔다.
보안시설을 거쳐 공장 내부로 들어서니 길이 200m가 넘는 공정 라인이 깔려 있었다. 공장 내부는 보안 상의 이유로 사진 촬영이 제한됐다.
운영 중인 라인에는 약 30명의 직원들이 인버터를 조립 및 점검하고 있었다. 200m 길이치고는 라인마다 직원이 많지 않았는데 일부 공정에서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한 덕이다.
태양광 인버터란 태양광 모듈에서 생산한 전기를 송전망에 전송할 수 있도록 직류(DC)를 교류(AC)로 전환하는 장치를 말한다. 즉, 태양광 전기라는 상품을 송전망이라는 트럭에 실을 수 있도록 포장해주는 장치인 셈이다.
태양광 발전사업자들은 태양광 인버터 구매 비용을 태양광 총 설치비용의 약 10%로 계산한다.
공정 과정을 살펴보니 태양광 인버터 제품을 7차례 이상 기계 혹은 사람이 직접 점검했다. 그만큼 철저하게 장비 품질에 신경 쓰고 있었다.
200m 길이의 라인이 총 14개나 설치돼 있고 이를 통해 하루에 9000개씩 매년 300만개의 태양광 인버터를 만들어낸다고 한다.
기자가 본 중국 태양광 인버터 제조 현장은 우리나라와 규모 면에서 전혀 차원이 다른 모습이었다. 한국 업계가 중국한테 인버터 기술을 배워야 할 판이라는 말을 실감한 현장이었다.
그로와트는 지난 2011년 설립됐다. 중국 태양광 산업과 함께 성장해 12년 만에 매출액 1조3000억원 규모로 커졌다.
선전시에 위치한 그로와트 본사 내부는 마치 글로벌 IT기업과 같은 분위기를 냈다. 연혁으로 따지면 신생기업에 속하니 자유로운 분위기를 풍겼다. 기업이 빠르게 성장한 데에는 수출 규모를 크게 늘렸기에 가능했다.
그로와트는 전 세계 42개 지부를 설립했고 180개 이상 국가에서 태양광 인버터를 수출하고 있다. 전 세계 태양광 인버터 점유율 순위는 지난 2022년 4위, 2023년 5위를 기록했다. 그로와트는 가정용 태양광 인버터에 강점이 있다. 가정용 태양광 인버터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1위를 기록했다.
전 세계 전체 태양광 인버터 시장은 선그로우, 하웨이, 솔리스, 그로와트 등 중국 기업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로와트는 태양광 인버터를 둘러싼 기술 경쟁이 매우 치열해 새로운 기술을 접목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앞으로 전력시장이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갈 것을 대비해 인버터와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결합한 제품을 출시 중이고, 새로운 기술도 개발 중"이라며 “화재 예방은 물론 최근 전력시장 트렌드에 맞춰 전력망 역송출 기술도 도입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태양광 인버터 효율 98% 이상의 1티어 기준을 맞추고 있다. 1티어를 맞추는 건 경쟁에서 기본"이라며 “용량도 125킬로와트(kW)로 차별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태양광 사업자들은 보통 1000kW 규모 발전설비를 선호한다. 태양광 인버터가 100kW 용량이면 10개를 설치해야 하고, 125kW 용량이면 8개만 설치하면 된다. 인버터 설치 개수가 줄어드니 1kW당 인버터 설치 비용은 절감한다는 게 그로와트 측의 설명이다.
그로와트는 지난 2022년 기준 매출액의 4.6%를 연구개발(R&D)에 투자하고 있다. 전체 임직원 수가 약 4400명인데 연구개발 인력은 1100명에 이른다. 치열한 글로벌 태양광 인버터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결국 기술로 승부를 봐야 한다는 것이다.
중국 태양광 인버터 기업들은 기술 경쟁에 열을 올리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전 세계 태양광 인버터 시장에서 전혀 힘을 못 쓰고 있다.
한국에너지공단 2022년 신재생에너지 산업통계에 따르면 지난 2022년 우리나라 태양에너지 발전용 전력변환장치 제조업의 총 매출액은 3874억원이다. 그중에서도 내수가 3798억원으로 대부분이고 수출 규모는 76억원에 불과하다.
강준호 한국태양광공사협회 초대회장(동원이엔씨 대표)은 “중국은 태양광 한개 기업의 모듈 매출이 십수조원이고, 인버터 매출은 1조~3조원 수준이다. 반면 한국은 한개 기업의 모듈 매출은 총 2조~3조원, 인버터는 300억원 정도"라며 “산업통상자원부가 (전 세계 태양광 확대 추세에 따라) '달리는 말 등에 올라타는 전략'을 구사했다면 상황이 조금은 나았을지도 몰랐을 것이다. 이제는 중국 기업의 R&D와 세계 네트워크 판매 전략을 배워야 해야 할지도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원희 기자 wonhee454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