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애플, 메타, 아마존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물론 국제에너지기구(IEA)등 국내외 전문기관과 전문가들이 일제히 소형모듈원전(SMR)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AI(인공지능)과 데이터센터 등 급증하는 전력수요를 충당하면서도 탄소배출 저감, 기후변화 대응, 에너지안보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라는 게 배경이다.
파티 비롤 국제에너지기구(IEA) 사무총장은 지난 3일 '한·IEA 공동선언문' 발표 기자회견에서 “연중무휴로 안정적으로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는 원전은 에너지안보와 기후변화 저지를 위해 중요한 에너지원"이라고 말했다.
그는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원은 기상 조건에 크게 좌우되고 이런 지리적 조건 때문에 부국과 빈국이 존재한다"며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수단으로 원전 확대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날 공동선언에서 IEA는 한국이 주창한 무탄소에너지(CFE) 이니셔티브에 대한 지지를 공식 표명했다.
CFE 이니셔티브는 지난해 9월 윤석열 대통령이 유엔 총회 기조연설을 통해 국제사회에 제안한 것으로, 유엔이 제시한 2050년 넷제로(온실가스 순배출량 제로) 달성의 조기 이행을 위해 재생에너지를 비롯한 모든 무탄소에너지를 폭넓게 활용하자는 개념이다. 재생에너지만 인정하는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운동과 달리 원자력발전과 청정수소 등을 포함한다.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애플, 메타, 아마존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CFE를 발판으로 2030~2040년까지 탄소배출 넷제로(Net-zero)달성을 선언했다.
MS는 SMR 건설을 지원하는 리더가 되기 위해 원자력에너지 전문가들을 고용하고 SMR 사업자들와 전력구매계약(PPA) 체결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마이크로소프트의 회장 겸 CEO인 사티아 나델라(Satya Nadella)는 “회사는 글로벌 SMR 및 마이크로원자로 에너지 전략을 성숙시키고 구현할 원자력기술 수석 프로그램 관리자를 찾고 있다"고 발표했다.
발표 직후 MS는 전 테네시강유역개발공사(TVA) 고위 원자력 에너지 전문가인 에린 헨더슨 박사(Erin Henderson, Director of Nuclear Development Acceleration)와 토드 노에(Todd Noe, Director of Nuclear & Energy Innovations)를 고용해 SMR 전략을 가속화하고 있다.
미국 포브스지에 따르면 AI, 데이터센터는 세계 에너지수요의 1~2%를 차지하며 향후 10년간 3~4%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로버트 에클스(Robert G. Eccles) 하버드비즈니스스쿨 교수는 “SMR은 AI 개발에 집중하는 기술 커뮤니티에서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 AI는 만족할 줄 모르는 에너지 괴물"이라며 “MS가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을 위해 첫 SMR 계약을 하게 되면 기후변화 문제와 미국 에너지안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장의 르네상스를 촉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유일 대형,소형 원자로 제작 업체 두산에너빌리티는 “SMR 생산 위해 전용 공장 설립, NuScale SMR 건설을 추진 중인 루마니아 클라우스 요하니스 대통령이 이 SMR 전용 공장을 방문해 제작 역량을 확인했다. SMR 제작에 필요한 첨단 제조 기술 개발과 제작 설비를 확충하는 등 SMR 시대의 도래에 대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비롤 총장도 “한국이 국내에 원전을 건설하지 않는다면 왜 자국에서 하지 않는 것을 수출하려 하느냐는 질문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에너지 정책을 원전 중심으로 수정한 것이 원전 수출에도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했다.
전지성 기자 jjs@ekn.kr
핵심광물 추출한다…‘재자원화산업클러스터’ 조성 사업 급물살
2025.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