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테크 산업 급성장···정부 나서 선진국과 격차 좁혀야”

무협 ‘기후테크 산업 동향 및 우수 기업 사례를 통해 본 성공 전략’ 보고서
2024-02-01 09:15:02 댓글 0
▲기후테크 국가별 민간투자 현황 및 2022년 국가별 민간 투자 상승률.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전세계적으로 '기후테크'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는 만큼 정부가 우리 기업들을 지원해 선진국과 격차를 좁혀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기후테크는 기후(Climate)와 테크(Technology)의 합성어다. 온실가스 배출 감소와 기후변화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는 모든 범위의 기술을 지칭한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기후테크 산업 동향 및 우수 기업 사례를 통해 본 성공 전략'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경제성을 보유한 파괴적 혁신 기술인 기후테크에 대한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

실질적인 탄소 감축을 위해서는 원료 및 연료 변환, 공정 개선, 자동·최적화 등 사회 전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나, 현재는 혁신적인 감축 수단에 대한 기술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보스턴컬설팅그룹(BCG)은 현재 상용 기술 및 초기 기술이 극대화돼도 넷제로(Net-Zero) 달성을 위한 이산화탄소 순 배출량의 약 65%만 감축이 가능하다고 봤다.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감축 신기술 개발을 위한 대규모 투자(연간 3조~5조 달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근 기후테크는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자 새로운 사업 기획의 영역으로 인식되며 해당 분야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고 있다. 전문가 예상보다 빠른 기술 성장 속도를 보이며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다.

IEA에 따르면 2016년 169억달러(약 22조원)에 불과하던 기후테크 산업의 규모는 2032년에는 1480억달러(약 200조원)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IEA는 또 지난 2022년 재생에너지 성장 속도 전망치를 2020년 대비 76% 상향 조정하며 역대 최대로 조정치를 올렸다. 태양광·풍력터빈·전기 자동차용 배터리의 생산 능력 성장 전망치도 지속 상승하고 있다.

2022년 기준 기후테크 유니콘 기업 수는 83개사다. 총 기업 가치는 약 1800억달러로 평가되고 있다. 전 세계 기후 변화 대응 투자금도 1조6000만달러에 육박한다.

우리나라 기후테크 산업도 규모는 작으나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22년 기준 한국의 기후테크 민간 투자 규모는 13억달러로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주요국 중 가장 높은 민간 투자 상승률(2021년 대비 337% 증가)를 보이며 투자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다.

기후테크 산업은 △투자 분야 다변화 △초기 단계 기술 투자 확대 △기술 주도국 비중 감소 등 신규 기업 진입이 가능하도록 시장 환경이 우호적으로 변모 중이다.

그동안 투자가 집중된 모빌리티 및 운송 부문의 탄소 배출량은 전체 16%를 차지하는 데 반해 투자는 전체 투자의 61%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탄소 배출량과 투자액간의 부조화 문제가 지적됐다. 최근에는 순환 경제, 탄소 시장 등 신규 영역에 대한 투자가 급증해 부조화가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2016년 기준 1%에 불과하던 전체 민간 투자금 중 초기 단계 기술에 대한 투자 비중은 2021년 6%로 뛰었다. 또 현재 미국이 기후테크 산업을 선도하고 있으나, 미국을 제외한 국가들의 투자 비중이 높아지며 지역적 다양성이 커지고 있다.

보고서는 기업이 성공적으로 기후테크 산업에 진출하기 위한 전략으로 △탄소 저감 실적 공개를 통한 고객층 확대 △기존 인프라에 접목이 용이한 기술 개발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한 기술 개발 △장기적 안목으로 기술 개발 투자 △정부 지원 제도 및 사업 적극 활용을 통한 기술 성장 발판 마련을 제시했다.

임지훈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기후테크는 기술 실증 기회가 적고 수익을 단기간에 낼 수 없어 투자 불확실성이 높기에 민간에서 주도하기에는 한계가 따른다"며 “정부는 선진 국가와의 격차를 좁히기 위해 기후테크 산업이 필요로 하는 지원 사항을 제도화하고, 경제성에 밀려 개발되지 못한 기술에 대한 투자에 매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여헌우 기자 yes@ekn.kr

데이터센터

국내 석유제품 가격 동향

국제환율(미국 USD 매매기준율)

소비자물가지수(월)

월별 소비자물가 등락률

리튬 가격

최근 7일간 전국 일일 상표별 평균가격(보통휘발유)

MICE센터